2025/03 32

내면 vs 네 면

"나"라는 집의 네 개의 방사람은 누구나 자기 안에 하나의 집을 짓고 살아갑니다. 그 집의 벽은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며, 우리는 그곳에서 다양한 모습의 자아를 만나게 됩니다. 이 보이지 않는 공간을 우리는 '내면(內面)'이라고 부릅니다. "내면"이라는 말을 곱씹어 보면 흥미로운 발견을 하게 됩니다. 글자 그대로는 '안쪽 면'이라는 뜻이지만, 소리로 들으면 마치 '네 개의 면(四面)'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우연일까요? 아니면 언어 속에 숨겨진 진실일까요? 이러한 언어의 우연성은 종종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한 진실을 품고 있는것 같습니다. 실제로 심리학자 조셉 루프트와 해링턴 잉햄이 만든 '조-해리의 창' 이론은 인간의 자아가 네 개의 영역으로 나뉜다고 설명합니다. 이..

고민(苦悶) vs 민(民)

여러분은 요즘 어떤 고민이 있으신가요? 아마도 각자 다른 무게와 다른 모양의 고민들을 안고 계실 겁니다. 직장에서의 어려움, 관계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안, 혹은 오늘 저녁 무엇을 먹을지와 같은 일상의 작은 선택까지. 우리의 하루는 크고 작은 고민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고민'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깊은 의미를 생각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고민'이라는 단어의 한자를 보면 '苦悶'입니다. '苦(고)'는 '괴롭다', '쓰다', '고통스럽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고, '悶(민)'은 '답답하다', '번민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민(悶)'자 속에는 '마음 심(心)'이 들어있고, 또 다른 '민(民)'자와 발음이 같습니다. 백성 민(民)은 사람들, 민중을 의미하지요. ..

피곤 vs 피로

피로와 피곤, 내 몸이 속삭이는 소중한 메시지여러분은 이번 한주 어떻게 보내셨나요? 분주한 일상 속에서 숨 가쁘게 달려오셨나요?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 2025년 3월 29일, 토요일 아침, 잠시 이 글을 읽는 동안만이라도, 깊은 숨을 한 번 들이마셔 보세요. 그리고 수고한 자신에게 수고했다고 이야기 해주세요. 저도 이번 한주 동안 개인적으로, 그리고 업무적으로도 정신없이 바쁜 시간을 보내고 느끼는 생각을 정리해 봅니다. 우리 몸은 매일 여러 신호를 보내고 있어요. 그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느끼는 '피곤(疲困)'과 '피로(疲勞)'란 두가지 감각이 있죠.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이 두 신호는 우리에게 전혀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답니다. 그래서 오늘 아침에는 이 두 가지 신호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대하여 ..

작동 vs 동작

작동과 동작 사이: 살아있음의 두 가지 차원여러분은 평소 아침 어떻게 하루를 시작하시나요? 알람 소리에 눈을 뜨고,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을 확인하고, 익숙한 루틴대로 씻고, 옷을 입고, 출근길에 오르시나요? 그 과정에서 여러분은 '작동'하고 있었을까요, 아니면 '동작'하고 있었을까요? 글자의 순서가 바뀔 때: 삶의 방식이 뒤바뀌다한국어에는 '작동(作動)'과 '동작(動作)'이라는 두 단어가 있습니다. 얼핏 보면 같은 글자들의 순서만 바뀐 것 같지만, 이 미묘한 차이 속에 우리 삶의 본질적인 두 가지 상태를 놀랍도록 정확하게 포착하고 있습니다.작동(作動): '작용(作)'이 먼저 오고 '움직임(動)'이 뒤따릅니다. 외부의 작용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상태입니다. 시계가 작동하고, 컴퓨터가 작동하고, 자동차가 작동합..

Delight vs Light

빛의 원리: 내면의 빛이 세상의 기쁨이 되는 과정"한 개인의 영혼 속에 불을 밝히는 것은 마치 다른 수천 개의 양초에 불을 붙이는 것과 같습니다. 당신의 삶이 다른 이들에게 빛이 될 때, 당신 자신의 빛은 결코 줄어들지 않습니다."우리가 빛을 찾는 이유여러분은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첫 빛을 느끼신 적이 있나요? 그 순간의 따스함과 생기를 기억하시나요? 우리는 매일 아침 해가 뜨는 것을 당연하게 여깁니다. 그러나 그 빛이 없다면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존재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 빛은 단순한 물리적 현상을 넘어 삶의 근원이자 은유로서 인류의 사상과 문화에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햇빛을 향해 자라는 식물의 모습에서 삶의 지혜를 발견합니다. 식물학자들은 이를 '굴광성(photot..

런닝맨(Running man) vs 러닝맨(Learning man)

멈추어 본 적 있나요? : 런닝맨과 러닝맨 사이에서저희 아들이 초등학교 시절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은 런닝맨이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기업에서 21년 동안 인재를 육성하는 러닝맨이었습니다. 주말이면 아들과 함께 형형색색의 이름표를 단 사람들이 웃고, 울고, 뛰고, 넘어지는 모습을 보며 웃음 짓던 그 시간들이 선명합니다. 아들은 런닝맨의 미션과 게임에 열광했고, 저는 그 속에서 우리 삶의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달리고, 때로는 넘어지고, 다시 일어나는 그 과정, 그것은 바로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인재를 육성하며 보낸 21년의 시간은 저에게 '달리기'와 '배움'의 의미를 끊임없이 고민하게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오늘은 '런닝맨(Running man)'과 '러닝맨(Learning man)'이라는..

문장의 구두점 vs 인생의 구두점

문장의 구두점 vs 인생의 구두점: 우리가 써내려가는 이야기어느 작가의 책상 위에 놓인 원고를 상상해보세요. 빼곡한 문장들 사이로 찍힌 작은 표시들. 쉼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얼핏 보면 사소해 보이는 이 작은 기호들이 없다면, 그 글은 어떻게 될까요? 아마도 숨 한 번 고르지 못하고 달려가는 열차처럼 의미를 알 수 없는 소음으로 변해버릴 것입니다. 사실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매일 글을 쓰고 있습니다. 다만 펜과 종이로 쓰는 것이 아니라, 선택과 행동으로 써 내려가는 우리 삶이라는 이야기를 만들어갑니다. 그리고 모든 이야기가 그러하듯, 우리의 삶에도 구두점이 필요합니다. 문장에서 마침표는 끝을, 쉼표는 잠시 멈춤을, 물음표는 의문을 표현하듯 우리 인생의 순간들도 각자의 구두점을 품고 ..

Secure vs Cure

안전이라는 품 안에서 피어나는 치유 언어가 알려준 소중한 비밀'secure'라는 단어를 천천히 들여다본 적 있으신가요? 그 속에 'cure'라는 단어가 숨어 있다는 걸 발견하면 문득 미소 짓게 됩니다. 우연일까요? 아니면 우리에게 전하는 작은 속삭임일까요? 언어는 때로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지혜를 품고 있습니다. 'secure'의 어원은 라틴어 'securus'에서 왔는데, 이는 '걱정 없는 상태'를 의미했고, 'cure' 역시 같은 뿌리에서 자라났습니다. 이 작은 발견이 제게는 큰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아마 여러분도 살면서 이런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마음이 안전하다고 느끼는 사람 앞에서만 진짜 속마음을 털어놓게 되는 순간, 혹은 따뜻한 이해의 눈빛이 느껴질 때만 눈물을 보이게 되는 순간. 우리는 ..

지나침 vs 지나침

지나침(行動)과 지나침(程度): 삶의 두 가지 역설에 관한 고찰같은 말, 다른 의미: 두 갈래 길의 시작 "그냥 지나쳐버렸습니다.""너무 지나친 행동이었습니다." 이 두 문장에서 사용된 '지나침'과 관련된 표현이 다른 의미를 담고 있음을 느끼실 수 있으신가요?  우리말에서 ‘지나침’이라는 표현은 흥미롭게도 두 가지 서로 다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하나는 ‘지나침(行動)’으로, 어떤 장소나 상황, 사람을 스쳐 지나가는 행위를 뜻합니다. 다른 하나는 ‘지나침(程度)’으로, 적절한 한계를 넘어선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미묘한 언어적 중첩 속에는 우리 삶의 중요한 면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인생은 끊임없이 이 두 가지 ‘지나침’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여정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무엇은 ‘지나쳐야..

인정 vs 인정

인정(認定)과 인정(人情): 현대인의 두 가지 갈망 같은 소리, 다른 마음우리 마음속에는 두 가지 목소리가 있습니다."잘했어요, 정말 대단하시네요.""괜찮아요, 정말 애쓰셨어요."이 두 문장중 어느 것이 여러분의 마음에 더 깊이 와닿으시나요? 삶의 어떤 순간에는 첫 번째 말이 간절히 필요하고, 또 다른 순간에는 두 번째 말이 절실하게 필요하지 않으신가요? 우리 모두는 인정받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인정'이라는 말이 담고 있는 두 가지 의미를 알게 된다면, 우리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인정을 동시에 갈망하고 있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한국어의 '인정'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의미를 품고 있습니다. 이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우리의 행복과 내면의 평화에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